본문 바로가기
ETF 공부

[TLT ETF] 포트폴리오를 지탱할 미국 장기채권에 투자하기

by ETF 공투 2023. 4. 23.

1. TLT 소개

 

TLT는 ICE U.S. Treasury 20+ Year Bond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20년 이상의 잔여 만기가 있는 채권에 투자합니다

 

TLT ETF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

1. 배당은 2.75% 수준이며 지난 5년간 -1.94%의 역배당성장을 기록했습니다

2. 일 평균 1900만 주 거래됨으로 매수/매도에 어려움은 없습니다

3. 운용수수료는 0.15%입니다

 

2. TLT 성적

파란선 : TLT, 주황선 : SPY(S&P500) 상장 이 후 성과비교

TLT 상장 이후 연평균 4.0% 수준의 성과를 기록했지만 듀레이션이 긴 만큼 MDD(고점대비최고낙폭)은 -41%를 기록하며 안전자산으로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습니다 SPY와 TLT를 보면 두 가지를 알 수 있습니다

 

1. 채권보다는 기업이라는 생산수단을 보유하는 것이 훨씬 더 높은 장기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

2. 채권은 주식이 크게 하락하는 시기에 역으로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

 

3. TLT 장점

'포트폴리오 안정감'

포트폴리오 1(파란선) SPY 100, 포트폴리오 2(빨간선) SPY 80 : TLT 20, 포트폴리오 3(노란선) SPY 60 : TLT 40

TLT의 비율이 높을수록 성과가 떨어지지만 최대낙폭 역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주식만 보유하여 포트폴리오가 많이 흔들리는 것이 고통스러운 분은 적정비율의 TLT를 포함시켜 포트폴리오에 안정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

 

4. TLT단점

'채권은 예금이 아니다'

채권은 적금이나 예금과 다르게 가격이 계속해서 움직입니다. 특히 듀레이션(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길수록 변동성과 수익률이 높음)이 긴 장기채권의 경우 주식이 어려운 순간에 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포트폴리오를 구원하는 좋은 모습을 보이지만 지금처럼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면 국면에서는 채권 가격이 많이 하락하여 포트폴리오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

 

5. 개인적 생각

저는 꼭 채권이 아니더라도 포트폴리오에 안전자산(주식과 반대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자산, 채권/금 등)을 보유하고, 하락장에서 원칙에 따라 보유한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멘털유지에 도움이 되어 투자 성공률을 훨씬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그중 TLT는 주식 하락기에 가치가 상승하는 채권에 투자하고, 높은 유동성을 보유했기에 포트폴리오의 안전자산으로 편입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

 

* 투자는 개인별 투자목표, 투자기간, 위험허용범위 등을 고려하여 투자해야 합니다.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